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고영선)은 11월 7일(목)에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 결과 발표
- 졸업자 취업률 소폭 감소(0.4%p↓), 졸업자 중 미취업자 비중 감소(0.4%p↓)
- 300인 이상 기업 취업자 비중 3년 연속 증가(22.5.% → 29.9% → 33.4% → 34.5%)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조사는 2020년부터 매년 4월 1일 기준으로 고용보험, 건강보험 등 공공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직업계고 학생의 졸업 후 취업 상황을 파악하는 국가 승인 통계이다.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개요 | ||
ㅇ (조사근거) 「교육기본법」 제26조의3, 「초·중등교육법」 제11조의2, 통계청 승인번호 제920024호 ㅇ (조사방법) 공공데이터베이스(DB)* 연계 조사 * 국민건강보험공단 DB, 근로복지공단 DB, 병무청 DB 등 19종 ㅇ (조사대상) 구 분 조사대상 졸업자 수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 2024년 1~2월 졸업자 63,005명1) 2023년 직업계고 졸업자 유지취업률 조사 2023년 1~2월 졸업자 71,591명2) 1) 특성화고 477개교, 마이스터고 51개교, 일반고 직업반 49개교(2021년 입학당시 기준) 2) 특성화고 470개교, 마이스터고 50개교, 일반고 직업반 58개교(2020년 입학당시 기준) ㅇ (조사내용) 직업계고 졸업자의 졸업 후 상황(취업 및 진학 등), 유지취업현황 ㅇ (조사기준일) 2024년 4월 1일 ㅇ (산출 공식) ① 취업률(%) : 취업자 / [졸업자 - (진학자+입대자+제외인정자)] × 100 ② 진학률(%) : 진학자 / 졸업자 × 100 ③ 졸업자 중 취업자 비율(%) : 취업자 / 졸업자 × 100 ④ 유지취업률(%) : 유지취업자 / 본 조사 보험 가입자(건강 및 고용) × 100 |
이번 조사는 직업계고 577개교의 2024년 2월 졸업자 63,005명을 대상으로, 2024년 4월 1일 기준 취업 및 진학 여부 등 취업 세부정보를 파악한 것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의 졸업 후 상황(취업률, 진학률)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63,005명 중 취업자는 16,588명, 진학자 30,216명, 입대자 1,716명, 제외인정자는 1,059명이며, 취업률*은 55.3%, 진학률은 48.0%로 전년 대비 취업률은 0.4%p 감소, 진학률은 1.0%p 증가하였다. 미취업자 비율은 21.3%로 전년 대비 0.4%p가 감소하여 학생들이 졸업 전 진로를 결정한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 취업률 = 취업자 / {졸업자-(진학자+입대자+제외인정자)} × 100
< 2023년 대비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졸업 후 상황 >
(단위: 명, %)
구분 | 취업률 | 진학률 | 졸업자 중 취업자비율 | 상세 자료 | ||||||
졸업자 | 취업자 | 진학자 | 입대자 | 제외 인정자 | 미취업자* | |||||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공공DB) |
2023 | 55.7 | 47.0 | 27.3 | 71,591 | 19,526 | 33,621 | 1,940 | 971 | 15,533 |
2024 | 55.3 | 48.0 | 26.3 | 63,005 | 16,588 | 30,216 | 1,716 | 1,059 | 13,426 | |
전년비 | 0.4%p↓ | 1.0%p↑ | 1.0%p↓ | △8,586 | △2,938 | △3,405 | △224 | 88 | △2,107 |
* 졸업한 사람 중 취업자 및 진학자, 입대자, 제외인정자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은 자
학교 유형별 취업률은 마이스터고가 72.6%로 직업계고 중 가장 높았으며, 특성화고 52.3%, 일반고 직업반 43.9%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북(69.5%), 대구(65.3%), 대전(61.1%), 경남(59.5%), 세종(59.4%), 충남(58.2%), 강원(56.2%), 광주(55.9%) 8개 시도가 전체 취업률 평균(55.3%)보다 높았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1천 명 이상 23.5%, 300~1천 명 미만 11.0%, 30~300명 미만 34.5%, 5~30명 미만 26.1%, 5명 미만 4.8%로 30~300명 미만 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특히, 300명 이상 기업에 취업한 비중은 34.5%로 3년 연속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취업의 질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로 분석된다.
2 직업계고 졸업자 유지취업률
건강보험 또는 고용보험 가입자(2023.4.1.기준 19,401명)의 1차 유지취업률은 82.2%(15,951명)로 전년과 동일, 2차 유지취업률은 66.2%(12,849명)로 전년 대비 0.2%p 감소하였다. 학교 유형별로는 마이스터고 1차 88.1%, 2차 69.7%, 특성화고 1차 81.0%, 2차 65.6%, 일반고 직업반 1차 76.4%, 2차 59%로 나타나 유지취업률도 마이스터고가 가장 높았다.
※ 유지취업률: 졸업년도 4월 1일 기준, 건강(직장) 보험가입자가 1차6개월, 2차12개월 이후에도 보험가입 자격을 유지하고 있는 비율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누구나 조사 결과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누리집*에 탑재(11월 중)할 계획이다. 조사 결과에는 직업계고 졸업자의 교과(군)별‧한국표준교육분류별‧한국표준산업유형별 현황 등도 포함되어 있다.
* 교육부(https://www.moe.go.kr), 한국교육개발원 및 교육통계서비스(https://www.kedi.re.kr, https://kess.kedi.re.kr/index)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교육부는 올해 직업계고 학생에 대한 진로·취업을 지원하는 직업계고 거점학교를 운영하고 한국항공우주산업 등 양질의 기업과 고졸 채용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라고 말하며, “앞으로 직업계고 거점학교를 확대하고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직업계고 학생들의 진로지도와 취업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 주요 내용
* 보다 상세한 내용은 [별첨 :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세부 분석 자료] 참조
ㅇ 직업계고 졸업 후 상황 총괄
-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63,005명 중 취업자 16,588명*, 진학자 30,216명, 입대자 1,716명, 제외인정자 1,059명으로 전체 취업률은 55.3%이다.
* 취업자 16,588명 중 건강보험(직장가입) 또는 고용보험 가입이 확인된 자 16,435명(99.1%), 해외취업자 105명(0.6%), 농림어업종사자 48명(0.3%)
ㅇ 성별 취업률 현황 분석 결과
- 남성 졸업자 취업률은 54.6%*, 여성 졸업자의 취업률은 56.3%**로 여성 졸업자의 취업률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 (남성) 36,965명 졸업자 중 취업자 10,023명, 진학자 16,279명, 입대자 1,716명, 제외인정자 615명
** (여성) 26,040명 졸업자 중 취업자 6,565명, 진학자 13,937명, 제외인정자 444명
<직업계고 졸업 후 상황> | <남성 졸업 후 상황> | <여성 졸업 후 상황> |
ㅇ 학교 유형 및 설립 주체별 취업률 분석 결과
◆ (참고) 졸업생의 실질적인 교육과정 이수를 기준으로 분석하기 위해 학교 유형은 현재 운영이 아닌 2021학년도 입학생을 기준으로 분류 ※ (예시) 2021년 신입생을 특성화고로서 모집하였으나 2022년 마이스터고로 학교 유형이 전환된 경우, 2024년 2월 졸업자는 특성화고 교육과정을 이수하였기에 특성화고로 분류 |
- (학교 유형) 2021학년도 입학기준 학교유형별 취업률은 특성화고 52.3%, 마이스터고 72.6%, 일반고 직업반 43.9%로 마이스터고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다.
- (설립 주체) 국립학교 61.1%, 공립학교 55.0%, 사립학교 55.2%로 국립학교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다.
- (학교 규모) 졸업자 규모가 300명 이상인 학교의 취업률은 59.9%, 200명∼300명 미만은 57.0%, 100명∼200명 미만은 53.4%, 100명 미만 학교의 취업률은 56.8%로 졸업자 규모 300명 이상 대형 학교들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다.
<학교 유형별> 취업률 | <설립 주체별> 취업률 | <학교 규모별>취업률 |
ㅇ 학교 소재지별 취업 현황 분석 결과
- (시도별) 경북(69.5%), 대구(65.3%), 대전(61.1%), 경남(59.5%), 세종(59.4%), 충남(58.2%), 강원(56.2%), 광주(55.9%) 8개 시도는 취업률이 전체 취업률보다 높았으며, 나머지 9개 시도는 전체 취업률보다 낮았다.
(단위: 개교, 명, %) | |||||||||
구분 | 학교수 | 졸업자 | 취업자 현황 | 진학자 현황 | 입대자 | 제외 인정자 |
미취업자 | ||
취업자 | 취업률 | 진학자 | 진학률 | ||||||
서 울 | 74 | 9,933 | 2,455 | 50.4 | 4,694 | 47.3 | 226 | 145 | 2,413 |
부 산 | 36 | 4,830 | 1,185 | 55.2 | 2,564 | 53.1 | 75 | 45 | 961 |
대 구 | 20 | 3,574 | 1,025 | 65.3 | 1,844 | 51.6 | 138 | 23 | 544 |
인 천 | 29 | 3,948 | 980 | 49.9 | 1,821 | 46.1 | 68 | 95 | 984 |
광 주 | 13 | 1,912 | 447 | 55.9 | 1,028 | 53.8 | 45 | 40 | 352 |
대 전 | 12 | 1,762 | 528 | 61.1 | 789 | 44.8 | 91 | 18 | 336 |
울 산 | 11 | 1,607 | 428 | 54.9 | 743 | 46.2 | 57 | 27 | 352 |
세 종 | 3 | 199 | 60 | 59.4 | 92 | 46.2 | 1 | 5 | 41 |
경 기 | 109 | 13,208 | 3,161 | 51.9 | 6,669 | 50.5 | 165 | 284 | 2,929 |
강 원 | 31 | 1,884 | 537 | 56.2 | 829 | 44.0 | 74 | 25 | 419 |
충 북 | 26 | 3,054 | 732 | 52.5 | 1,543 | 50.5 | 52 | 65 | 662 |
충 남 | 38 | 3,279 | 1,008 | 58.2 | 1,363 | 41.6 | 90 | 94 | 724 |
전 북 | 32 | 2,371 | 592 | 54.1 | 1,112 | 46.9 | 125 | 39 | 503 |
전 남 | 46 | 3,335 | 732 | 52.0 | 1,742 | 52.2 | 114 | 71 | 676 |
경 북 | 53 | 3,800 | 1,632 | 69.5 | 1,124 | 29.6 | 294 | 35 | 715 |
경 남 | 35 | 3,117 | 901 | 59.5 | 1,488 | 47.7 | 76 | 38 | 614 |
제 주 | 9 | 1,192 | 185 | 47.9 | 771 | 64.7 | 25 | 10 | 201 |
총 계 | 577 | 63,005 | 16,588 | 55.3 | 30,216 | 48.0 | 1,716 | 1,059 | 13,426 |
<시도별 취업률 현황>
- (수도권/비수도권) 수도권 소재 학교 취업률은 51.0%, 비수도권 소재 학교 취업률은 58.5%로 비수도권 소재 학교의 취업률이 더 높았다.
※ 수도권 : 서울, 인천, 경기 / 비수도권 : 수도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 (광역시/비광역시) 광역시 소재 학교의 취업률은 54.3%, 비광역시 소재 학교의 취업률은 56.0%로 비광역시 소재 학교의 취업률이 더 높았다.
※ 광역시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비광역시 :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 (지역 규모) 대도시 소재 학교의 취업률은 54.4%, 중소도시 소재 학교의 취업률은 55.5%, 읍·면지역(도서벽지 포함) 소재 학교의 취업률은 56.8%로 읍면지역 소재 학교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다.
※ 대도시 : 특별·광역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중소도시 : ‘특별·광역시’를 제외한 모든 시 지역
읍·면지역(도서벽지 포함) : 시·군의 하부행정구역 및 군 관할 하에 있는 지방행정 구역
<수도권/비수도권>취업률 | <광역시/비광역시>취업률 | <지역규모별>취업률 |
ㅇ 근로지역별 취업 현황 분석 결과
- (수도권/비수도권) 수도권 소재 기업 취업자 비중은 58.1%, 비수도권 소재 기업 취업자 비중은 41.9%로 수도권 취업자 비중이 더 높았다.
- (광역시/비광역시) 광역시 소재 기업 취업자 비중은 46.7%, 비광역시 소재 기업 취업자 비중은 53.3%로 비광역시 취업자 비중이 더 높았다.
- (관내/관외) 학교의 소속 시도 내(관내) 기업 취업자 비중은 53.9%, 타시도(관외)로의 취업자 비중은 46.1%로 관내 취업자 비중이 더 높았다.
<수도권 / 비수도권> 취업자 비중 |
<광역시 / 비광역시> 취업자 비중 |
<관내 / 관외> 취업자 비중 |
ㅇ 사업장 종사자 규모별 취업 현황 분석 결과
- (사업장 종사자 규모별) 사업장 종사자 규모 5명 미만 기업 취업자 수는 784명(4.8%), 5~30명 미만 4,290명(26.1%), 30~300명 미만 5,666명(34.5%), 300~1000명 미만 1,812명(11.0%), 1,000명 이상 3,863명(23.5%), 기타 20명(0.1%)으로 30~300명 미만 기업의 취업자 수가 가장 많았다.
<사업장 종사자 규모별 취업자 수>
직업계고 졸업자 유지취업률조사 결과 주요 내용
직업계고 졸업자 유지취업률 개요
ㅇ 유지취업률 : 직업계고 졸업자 중 졸업년도 4.1. 기준 건강(직장) 또는 고용 보험가입자가 일정 시점 이후에도 보험가입 자격을 유지하고 있는 비율 - 1차 : 졸업년도 4.1. 기준 약 6개월 후(졸업년도 10.1. 기준) - 2차 : 졸업년도 4.1. 기준 약 12개월 후(졸업년도+1 4.1. 기준) ㅇ 2024년 유지취업률 - 조사 대상 : 2023년 직업계고 졸업자 - 유지취업률 기준 : (1차) 2023.10.1., (2차) 2024.4.1 |
ㅇ 직업계고 졸업자의 유지취업률 결과
- 2023년 직업계고 졸업자의 1차 유지취업률은 82.2%, 2차 유지취업률은 66.2%로 나타났다.
ㅇ (학교 유형별) 학교 유형에 따른 유지취업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1차) 마이스터고88.1%, 특성화고 81.0%, 일반고 직업반 76.4%
- (2차) 마이스터고69.7%, 특성화고 65.6%, 일반고 직업반 59.0%
- 1차 유지취업률 대비 2차 유지취업률은 특성화고 15.4%p, 마이스터고는 18.4%p, 일반고 직업반은 17.4%p 각각 감소하였다.
<학교유형별 유지 취업률>
ㅇ (성별) 성별에 따른 유지취업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1차) 여성 83.7%, 남성 81.2% / (2차) 여성 72.6%, 남성 61.8%
- 남성의 경우 취업 후 군 복무로 인해 여성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ㅇ (소재 지역별) 학교 소재지역별에 따른 유지취업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1차) 경남(84.4%), 충북(84.1%), 대구(83.8%), 경북(83.7%), 서울(83.4%), 대전(83.2%), 인천 및 강원 (각 82.8%), 광주(82.4%) 9개 시도는 평균(82.2%)보다 높게 나타났다.
- (2차) 서울(70.8%), 대전(69.3%), 인천 및 대구(각 68.5%), 충북(66.8%), 광주 및 경기(각 66.5%), 경남(66.2%) 8개 시도는 평균(66.2%)보다 같거나 높게 나타났다.
<시도별 유지 취업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