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 결과 발표

반응형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고영선)은 11월 7일(목)에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 결과 발표

- 졸업자 취업률 소폭 감소(0.4%p), 졸업자 중 미취업자 비중 감소(0.4%p)

- 300인 이상 기업 취업자 비중 3년 연속 증가(22.5.%  29.9%  33.4%  34.5%)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조사는 2020년부터 매년 4 1일 기준으로 고보험, 건강보험 등 공공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하여 직업계고 학생의 졸업 후 취업 상황을 파악하는 국가 승인 통계이다.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개요  
 (조사근거) 「교육기본법」 제26조의3, 「초·중등교육법」 제11조의2, 통계청 승인번호 제920024
 (조사방법) 공공데이터베이스(DB)* 연계 조사
   * 국민건강보험공단 DB, 근로복지공단 DB, 병무청 DB  19
 (조사대상)
                         구 분                                                    조사대상                                                                               졸업자 수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 통계 조사           2024년 1~2월 졸업자                                                                     63,0051)
2023년 직업계고 졸업자 유지취업률 조사        2023년 1~2월 졸업자                                                                     71,5912)

   1) 특성화고 477개교, 마이스터고 51개교, 일반고 직업반 49개교(2021년 입학당시 기준)
   2) 특성화고 470개교, 마이스터고 50개교, 일반고 직업반 58개교(2020년 입학당시 기준) 
 (조사내용) 직업계고 졸업자의 졸업 후 상황(취업 및 진학 등), 유지취업현황
 (조사기준일) 2024 4 1
 (산출 공식) ① 취업률(%) : 취업자 / [졸업자 - (진학자+입대자+제외인정자)] × 100
              진학률(%) : 진학자 / 졸업자 × 100

               ③ 졸업자 중 취업자 비율(%) : 취업자 / 졸업자 × 100
               ④ 유지취업률(%) : 유지취업자 / 본 조사 보험 가입자(건강 및 고용) × 100

  

 이번 조사는 직업계고 577개교의 2024 2월 졸업자 63,005명을 대상으로, 2024 4 1일 기준 취업 및 진학 여부 등 취업 세부정보를 파악한 것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의 졸업 후 상황(취업률, 진학률)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63,005명 중 취업자는 16,588, 진학자 30,216, 입대자 1,716명, 제외인정자는 1,059명이며, 취업률*은 55.3%, 진학률은 48.0%로 전년 대비 취업률은 0.4%p 감소, 진학률은 1.0%p 증가하였다. 취업자 비율은 21.3%로 전년 대비 0.4%p가 감소하여 학생들이 졸업 전 진로를 결정한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 취업률 = 취업자 / {졸업자-(진학자+입대자+제외인정자)} × 100

< 2023년 대비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졸업 후 상황 >

(단위: 명, %)

구분 취업률 진학률 졸업자 중 취업자비율 상세 자료
졸업자 취업자 진학자 입대자 제외 인정자 미취업자*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공공DB)
2023 55.7 47.0 27.3 71,591 19,526 33,621 1,940 971 15,533
2024 55.3 48.0 26.3 63,005 16,588 30,216 1,716 1,059 13,426
전년비 0.4%p 1.0%p 1.0%p 8,586 2,938 3,405 △224 88 2,107

  * 졸업한 사람 중 취업자 및 진학자, 입대자, 제외인정자 어디에도 포함되지 않은 자

  

 학교 유형별 취업률은 마이스터고가 72.6%로 직업계고 중 가장 높았으며, 특성화고 52.3%, 일반고 직업반 43.9%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북(69.5%), 대구(65.3%), 대전(61.1%), 경남(59.5%), 세종(59.4%), 충남(58.2%), 강원(56.2%), 광주(55.9%) 8개 시도가 전체 취업률 평균(55.3%)보다 높았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1천 명 이상 23.5%, 300~1천 명 미만 11.0%, 30~300명 미만 34.5%, 5~30명 미만 26.1%, 5명 미만 4.8% 30~300 미만 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특히, 300명 이상 기업에 취업한 비중은 34.5% 3 속 상승하고 있으며 이는 취업의 질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로 분석된.

2 직업계고 졸업자 유지취업률

  건강보험 또는 고용보험 가입자(2023.4.1.기준 19,401명)의 1차 유지취업률은 82.2%(15,951명) 전년과 동일, 2차 유지취업률은 66.2%(12,849)로 전년 대비 0.2%p 감소하였다. 학교 유형별로는 마이스터고 1차 88.1%, 2차 69.7%, 특성화고 1 81.0%, 2 65.6%, 일반고 직업반 1 76.4%, 2 59%로 나타나 유지취업률도 마이스터고가 가장 높았다.

   유지취업률: 졸업년도 4 1일 기준, 건강(직장) 보험가입자가 16개월, 212개월 이후에도 보험가입 자격을 유지하고 있는 비율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누구나 조사 결과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누리집*에 탑재(11월 중)할 계획이다. 조사 결과에는 직업계고 졸업자의 교과(군)별‧한국표준교육분류별‧한국표준산업유형별 현황 등도 포함되어 있다.

  * 교육부(https://www.moe.go.kr), 한국교육개발원 및 교육통계서비스(https://www.kedi.re.kr, https://kess.kedi.re.kr/index)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교육부는 올해 직업계고 학생에 대한 진로·취업을 지원하는 직업계고 거점학교를 운영하고 한국항공우주산업 등 양질의 기업과 고졸 채용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라고 말하며, “앞으로 직업계고 거점학교를 확대하고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직업계고 학생들의 진로지도와 취업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 주요 내용

* 보다 상세한 내용은 [별첨 :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세부 분석 자료] 참조

 직업계고 졸업 후 상황 총괄

   - 2024년 직업계고 졸업자 63,005명 중 취업자 16,588*, 진학자 30,216, 입대자 1,716, 제외인정자 1,059명으로 전체 취업률은 55.3%이다.

    * 취업자 16,588명 중 건강보험(직장가입) 또는 고용보험 가입이 확인된 자 16,435(99.1%), 해외취업자 105(0.6%), 농림어업종사자 48(0.3%)

 성별 취업률 현황 분석 결과

   - 남성 졸업자 취업률은 54.6%*, 여성 졸업자의 취업률은 56.3%** 여성 졸업자의 취업률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 (남성) 36,965명 졸업자 중 취업자 10,023, 진학자 16,279, 입대자 1,716, 제외인정자 615

   ** (여성) 26,040명 졸업자 중 취업자 6,565, 진학자 13,937, 제외인정자 444

<직업계고 졸업 후 상황> <남성 졸업 후 상황> <여성 졸업 후 상황>

 

 학교 유형 및 설립 주체별 취업률 분석 결과

 (참고) 졸업생의 실질적인 교육과정 이수를 기준으로 분석하기 위해 학교 유형은 현재 운영이 아닌 2021학년도 입학생을 기준으로 분류
   (예시) 2021년 신입생을 특성화고로서 모집하였으나 2022년 마이스터고로 학교 유형이 전환된 경우, 2024 2월 졸업자는 특성화고 교육과정을 이수하였기에 특성화고로 분류

 

- (학교 유형) 2021학년도 입학기준 학교유형별 취업률은 특성화고 52.3%, 마이스터고 72.6%, 일반고 직업반 43.9%로 마이스터고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다.

- (설립 주체) 국립학교 61.1%, 공립학교 55.0%, 사립학교 55.2% 국립학교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다.

- (학교 규모) 졸업자 규모가 300명 이상인 학교의 취업률은 59.9%, 200명∼300명 미만은 57.0%, 100명∼200명 미만은 53.4%, 100 미만 학교의 취업률은 56.8% 졸업자 규모 300명 이상 대형 학교들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다.

<학교 유형별> 취업률 <설립 주체별> 취업률 <학교 규모별>취업률

 

 학교 소재지별 취업 현황 분석 결과

   - (시도별) 경북(69.5%), 대구(65.3%), 대전(61.1%), 경남(59.5%), 세종(59.4%), 충남(58.2%), 강원(56.2%), 광주(55.9%) 8개 시도는 취업률이 전체 취업률보다 높았으며, 나머지 9개 시도는 전체 취업률보다 낮았다.

(단위: 개교, 명, %)
구분 학교수 졸업자 취업자 현황 진학자 현황 입대자 제외
인정자
미취업자
취업자 취업률 진학자 진학률
서 울 74 9,933 2,455 50.4 4,694 47.3 226 145 2,413
부 산 36 4,830 1,185 55.2 2,564 53.1 75 45 961
대 구 20 3,574 1,025 65.3 1,844 51.6 138 23 544
인 천 29 3,948 980 49.9 1,821 46.1 68 95 984
광 주 13 1,912 447 55.9 1,028 53.8 45 40 352
대 전 12 1,762 528 61.1 789 44.8 91 18 336
울 산 11 1,607 428 54.9 743 46.2 57 27 352
세 종 3 199 60 59.4 92 46.2 1 5 41
경 기 109 13,208 3,161 51.9 6,669 50.5 165 284 2,929
강 원 31 1,884 537 56.2 829 44.0 74 25 419
충 북 26 3,054 732 52.5 1,543 50.5 52 65 662
충 남 38 3,279 1,008 58.2 1,363 41.6 90 94 724
전 북 32 2,371 592 54.1 1,112 46.9 125 39 503
전 남 46 3,335 732 52.0 1,742 52.2 114 71 676
경 북 53 3,800 1,632 69.5 1,124 29.6 294 35 715
경 남 35 3,117 901 59.5 1,488 47.7 76 38 614
제 주 9 1,192 185 47.9 771 64.7 25 10 201
총 계 577 63,005 16,588 55.3 30,216 48.0 1,716 1,059 13,426

<시도별 취업률 현황>

- (수도권/비수도권) 수도권 소재 학교 취업률은 51.0%, 비수도권 소재 학교 취업률은 58.5% 비수도권 소재 학교의 취업률이 더 높았다.

      수도권 : 서울, 인천, 경기 / 비수도권 : 수도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

- (광역시/비광역시) 광역시 소재 학교의 취업률은 54.3%, 비광역시 소재 학교의 취업률은 56.0% 비광역시 소재 학교의 취업률이 더 높았다.

      광역시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비광역시 :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 (지역 규모) 대도시 소재 학교의 취업률은 54.4%, 중소도시 소재 학교의 취업률은 55.5%, ·면지역(도서벽지 포함) 소재 학교의 취업률은 56.8%로 읍면지역 소재 학교의 취업률이 가장 높았다.

      대도시 :  특별·광역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중소도시 : ‘특별·광역시’를 제외한 모든 시 지역
        ·면지역(도서벽지 포함) : ·군의 하부행정구역 및 군 관할 하에 있는 지방행정 구역

<수도권/비수도권>취업률 <광역시/비광역시>취업률 <지역규모별>취업률

 

 근로지역별 취업 현황 분석 결과

   - (수도권/비수도권) 수도권 소재 기업 취업자 비중은 58.1%, 비수도권 소재 기업 취업자 비중은 41.9% 수도권 취업자 비중이 더 높았다.

   - (광역시/비광역시) 광역시 소재 기업 취업자 비중은 46.7%, 비광역시 소재 기업 취업자 비중은 53.3% 비광역시 취업자 비중이 더 높았다.

- (관내/관외) 학교의 소속 시도 내(관내) 기업 취업자 비중은 53.9%, 타시도(관외)로의 취업자 비중은 46.1% 관내 취업자 비중이 더 높았다.

<수도권 / 비수도권>
취업자 비중
<광역시 / 비광역시>
취업자 비중
<관내 / 관외>
취업자 비중

 

 사업장 종사자 규모별 취업 현황 분석 결과

   - (사업장 종사자 규모별) 사업장 종사자 규모 5명 미만 기업 취업자 수는 784(4.8%), 5~30명 미만 4,290(26.1%), 30~300명 미만 5,666(34.5%), 300~1000명 미만 1,812(11.0%), 1,000명 이상 3,863(23.5%), 기타 20(0.1%) 30~300명 미만 기업의 취업자 수가 가장 많았다.

<사업장 종사자 규모별 취업자 수>

직업계고 졸업자 유지취업률조사 결과 주요 내용

직업계고 졸업자 유지취업률 개요

 유지취업률 : 직업계고 졸업자 중 졸업년도 4.1. 기준 건강(직장) 또는 고용 보험가입자가 일정 시점 이후에도 보험가입 자격을 유지하고 있는 비율
  - 1 : 졸업년도 4.1. 기준 약 6개월 후(졸업년도 10.1. 기준)
  - 2 : 졸업년도 4.1. 기준 약 12개월 후(졸업년도+1 4.1. 기준)
 2024년 유지취업률
  - 조사 대상 : 2023년 직업계고 졸업자
  - 유지취업률 기준 : (1) 2023.10.1., (2) 2024.4.1 

 

 직업계고 졸업자의 유지취업률 결과

   - 2023년 직업계고 졸업자의 1차 유지취업률은 82.2%, 2차 유지취업률은 66.2%로 나타났다.

 (학교 유형별) 학교 유형에 따른 유지취업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1) 마이스터고88.1%, 특성화고 81.0%, 일반고 직업반 76.4%

   - (2) 마이스터고69.7%, 특성화고 65.6%, 일반고 직업반 59.0%

   - 1차 유지취업률 대비 2차 유지취업률은 특성화고 15.4%p, 마이스터고는 18.4%p, 일반고 직업반은 17.4%p 각각 감소하였다.

<학교유형별 유지 취업률>

 (성별) 성별에 따른 유지취업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1) 여성 83.7%, 남성 81.2%  /  (2) 여성 72.6%, 남성 61.8%

   - 남성의 경우 취업 후 군 복무로 인해 여성보다 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소재 지역별) 학교 소재지역별에 따른 유지취업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1) 경남(84.4%), 충북(84.1%), 대구(83.8%), 경북(83.7%), 서울(83.4%), 대전(83.2%), 인천 및 강원 (각 82.8%), 광주(82.4%) 9개 시도는 평균(82.2%)보다 높게 나타났다.

   - (2) 서울(70.8%), 대전(69.3%), 인천 및 대구( 68.5%), 충북(66.8%), 광주 및 경기( 66.5%), 경남(66.2%) 8개 시도는 평균(66.2%)보다 같거나 높게 나타났다.

<시도별 유지 취업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