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원장 직무대행 심한식)은 2월 25일(화), ‘2025년 학점은행제·독학학위제 온라인 학위수여식’을 개최했다.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유튜브(www.youtube.com/niletv)로 녹화영상 송출
학점은행제‧독학학위제 3만 8천여 명 학위 취득, 미래 인재로 도약
-2월 25일(화), 2025년 학점은행제·독학학위제 온라인 학위수여식 개최
-학점은행제 학사·전문학사 등 총 38,059명 학위 취득, 제도 시작 이래 누적 학위 취득자 111만여 명
이번 학위수여식에서 학점은행제 학사‧전문학사 37,499명, 독학학위제 학사 560명, 총 38,059명이 교육부 장관 명의의 학위를 취득한다.
◈ (학점은행제) 학교 안팎의 다양한 학습과 자격을 학점으로 인정, 전문대학 또는 대학과 동등한 학위를 수여하는 개방형 평생학습제도(학사 119개, 전문학사 111개 전공) ◈ (독학학위제) 국가주관 시험을 통해 경력단절 여성, 재직자, 군인, 재소자 등 대학 진학이 어려운 성인 학습자에게 대안적 학사학위 취득 기회 제공(학사 11개 전공) |
독학학위제(1990년~) 및 학점은행제(1997년~)가 시작된 이래, 새로운 배움의 기회를 통해 학위를 취득한 성인학습자가 2025년 2월 기준 누적 111만여 명(학점은행제 1,089,491명, 독학학위제 24,361명)에 이른다.
올해 학점은행제 학위취득자 중 22,118명(59.0%)은 대학‧전문대학 졸업 후 새로운 학위 및 자격 취득, 자기계발 등을 위해 도전한 학습자*이다. 독학학위제 학위취득자의 경우 일‧학습 병행을 통해 업무 역량을 개발하고 미래를 준비하고 있는 직장인이 총 320명(57.1%)으로 나타났다.
※ 대학·전문대학 졸업자의 학점은행제 학위취득 현황
: (2023.2월) 19,073명(52.1%) → (2024.2월) 18,741명(54.7%) → (2025.2월) 22,118명(59.0%)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우수한 성적으로 학점은행제 전문학사(사회복지 전공)를 취득한 김OO 씨 등 6명에게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수여한다. 또한, 직장과 육아를 병행하며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사학위 취득의 꿈을 실현한 박OO(지식재산학 전공) 씨 등 14명에게 특별상*을 수여한다.
* 2025년 1월에 실시된 우수 학습사례 공모를 거쳐 최종 선정
【 우수 학습사례 】 | ||
▪ 배○○(학사, 심리학) 학점은행제와 독학사를 병행하여 학위를 취득하고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에 합격함. 통합적 상담 접근에 대한 전문성을 키우며, 향후 전문상담교사 및 상담심리사 1급 자격 취득을 목표로 함. ▪ 김○○(학사, 기계공학) 공사현장에서 실무를 익히며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사학위를 취득함. 이론과 실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하고, 사회공헌 활동을 병행하며 전문성을 인정받아 대학원 석사 과정에 합격함. ▪ 안○○(학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 학점은행제를 통해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역량을 함께 갖추게 됨. 한국어교원 자격을 취득하여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며, 학생들이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자로 성장하고자 함. ▪ 안○○(학사, 문헌정보학) 경력단절 후 도서관 봉사활동을 계기로 학습 열정을 되찾아 학점은행제를 선택함. 매주 서울로 이동하며 대면 수업을 성실히 이수했고, 우수한 성적으로 교육훈련기관의 장학생으로 선발되는 등 의미있는 성과를 거둠. |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오늘 학위를 받으시는 분들은 배움에 대한 열정을 갖고 기꺼이 변화와 도전을 시도한 용기 있는 분들이다.”라고 말하며, “교육부는 국민 모두가 평생학습을 통해 기회를 얻고 삶을 풍요롭게 하며 더 나은 미래를 꿈꿀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학점은행제․독학학위제 주요 현황
□ 학점은행제․독학학위제 학위취득자
(단위 : 명)
연도 | 학점은행제 | 독학 학위제 (C) |
합계 (A+B+C) |
|||||
전문학사 | 학사 | |||||||
교육부 장관 |
대학의 장 | 소계(A) | 교육부 장관 |
대학의 장 | 소계(B) | |||
1992~2018 | 347,788 | 5,485 | 353,273 | 324,249 | 48,963 | 373,212 | 20,597 | 747,082 |
2019 | 22,114 | 259 | 22,373 | 27,537 | 5,177 | 32,714 | 834 | 55,921 |
2020 | 23,902 | 351 | 24,253 | 30,074 | 4,738 | 34,812 | 729 | 59,794 |
2021 | 28,797 | 450 | 29,247 | 34,206 | 4,607 | 38,813 | 525 | 68,585 |
2022 | 30,163 | 329 | 30,492 | 40,096 | 4,226 | 44,322 | 512 | 75,326 |
2023 | 30,836 | 335 | 31,171 | 40,542 | 4,021 | 44,563 | 604 | 76,338 |
2024 | 28,697 | 184 | 28,881 | 42,991 | 3,734 | 46,725 | 560 | 76,166 |
2025(전기) | 16,103 | 78 | 16,181 | 21,396 | 1,995 | 23,391 | - | 39,572 |
누계 | 528,400 | 7,471 | 535,871 | 561,091 | 77,461 | 638,552 | 24,361 | 1,198,784 |
1,174,423 |
※ 독학학위제는 2024년 학위수여자의 학위수여식을 2025년 2월에 실시
□ 학점은행제 전공 현황 (39개 학위, 230개 전공)
과정 | 개설 내용 | 개설 학위 | |
계열 | 학위 | ||
학사 | 26개 학위 119개 전공 |
인문·사회 | 경영학사, 경제학사, 관광학사, 광고학사, 군사학사, 문학사, 문헌정보학사, 법학사, 세무학사, 수사학사, 신학사, 지식재산학사, 행정학사 |
이학 | 가정학사, 이학사, 해양학사 | ||
공학 | 공학사 | ||
예·체능 | 무용학사, 미술학사, 미용학사, 예술학사, 음악학사, 체육학사, 패션학사 | ||
보건의료 | 간호학사, 보건학사 | ||
전문 학사 |
13개 학위 111개 전공 |
인문·사회 | 경영전문학사, 관광전문학사, 군사전문학사, 언어전문학사, 행정전문학사 |
이학 | 가정전문학사, 농업전문학사, 생명산업전문학사, 이료전문학사 | ||
공학 | 공업전문학사 | ||
예·체능 | 산업예술전문학사, 예술전문학사, 체육전문학사 |
□ 독학학위제 전공 현황 (11개 전공)
국어국문학 | 영어영문학 | 심 리 학 | 경 영 학 |
법 학 | 행 정 학 | 가 정 학 | 유아교육학 |
컴퓨터공학 | 정보통신학 | 간 호 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