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이주호)는 행정안전부(장관 직무대행 고기동)와 함께 전국의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특수학교 중 희망학교를 대상으로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을 4월부터 연중 실시한다고 밝혔다.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 실전 경험으로 안전을 지키다
- 전국 476개교 대상 2025년 학생 주도 재난안전훈련 실시(4월~12월)
- 대피 지도 그리기, 소화기·심폐소생술 실습, 현장 대피 훈련, 찾아가는 체험교육 등 활동과 체험 중심의 재난 대비 훈련 실시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은 학생들이 유치원생 때부터 재난대피 요령을 익히고, 역할 체험 등을 통해 스스로 위기 대응 능력을 기르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2016년 2개 초등학교에서 시작된 시범훈련이 꾸준히 확대되어, 올해는 총 476개교(기본훈련 357개교, 심화훈련 119개교)에서 대피훈련을 포함한 재난안전훈련을 실시한다.
재난안전훈련은 학교 여건 및 학사일정을 고려하여 기본훈련과 심화훈련으로 나뉘어 실시되며, 학교는 이를 선택·참여할 수 있다. 기본훈련은 2주간(주 1회) 실시되며, 학교는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기본훈련 프로그램 8개 중 2~3개를 선택·실시할 수 있다.
<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 기본훈련 프로그램 >
❶ 재난 이해하기-1 •재난개념 설명 •예방사례 소개 |
❷ 재난 이해하기-2 •게임으로 재난 이해 - 유엔재난위험경감사무국(UNDRR) 리스크랜드 - 해저드 빙고 |
❸ 실천하기 •재난 경험 공유 •위험요인 및 예방법 찾기 •재난 경감 안내서 제작 |
❹ 대피지도 그리기-1 재난이 발생했을 때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이동통로 찾기 |
❺ 대피지도 그리기-2 다양한 재난상황에 맞는 대피 |
❻ 유관기관 역할 체험 •유관기관(소방서, 경찰서 등) 역할 알아보기 •소화기·심폐소생술·응급처치 등 체험 |
❼ 대피훈련 준비 •대피 시나리오 작성 •모의훈련 실시 |
❽ 대피훈련 실시 •현장 대피훈련 실시 •의견 나눔 |
심화훈련은 3~5주(주 1회) 동안 실시되며 시나리오 작성과 대피훈련은 필수 프로그램이며 이 외에도 역할체험, 현장훈련 등 체험 중심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5주차에는 유관기관* 협업으로 ‘찾아가는 소방안전 교육’이 제공된다.
* 소방청, 한국도로교통공단,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한국제품안전관리원, 해양경찰청
※ 안전체험 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지역의 학생들에게 찾아가는 안전체험교육(소방안전, 교통안전, 해양안전, 제품안전, 연안 안전 체험교육) 제공
<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 심화훈련 프로그램(5주 훈련 예시) >
1주차 •재난 이해하기 •주변환경 및 관련 기관 조사 |
2주차 •대피지도 제작 •재난대응요령 작성 |
3주차 •시나리오 작성 •모의훈련 실시 |
4주차 •대피 훈련 실시 •결과보고 •설문조사 |
5주차 체험형 교육 실시 (‘찾아가는 소방 안전 교육’) |
참여 학교에는 학생 안전교육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안전교육강사를 지원하고, 재난안전훈련 안내서(교사용 길라잡이‧우수사례 등 포함)가 제공된다.
또한, 학생들의 활발한 참가를 유도하고자 참여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훈련 동영상 공모전’을 11월에 개최하고, 훈련 운영 우수학교 및 지도교사에게 교육부와 행정안전부 장관 표창을 수여할 예정이다.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 운영 개요
○ (목적) 유치원생 때부터 재난 대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피요령 습득, 역할 체험 등 재난에 스스로 대처할 수 있는 역량 확보
○ (주관/기간) 교육부‧행정안전부 / 4월~12월(연중 수시)
○ (대상) 유·초·중·고·특수학교 476개교 ※추가모집 : ‘25. 7.(자세한 일정은 추후 공지)
○ (주요 내용)
- 학교 여건, 학사 일정 등에 따라 기본훈련과 심화훈련 중 선택
- (기본훈련) 기존 교육과정(학교안전교육, 위험요인 개선활동 등)에 훈련 프로그램 8개 중 2~3개 선택하여 2주간 실시
<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 기본훈련 프로그램 > | ||
① 재난 이해하기-1 : 재난개념 설명, 예방사례 소개 | ||
② 재난 이해하기-2 : 유엔재난위험경감사무국(UNDRR) 리스크랜드 게임, 해저드빙고 게임과 함께 재난 이해하기 | ||
③ 실천하기 : 재난경험 공유, 위험요인과 예방법 찾기, 재난경감 안내서 만들기 | ||
④ 대피지도 그리기-1 : 재난이 발생했을 때 효과적으로 대피할 수 있는 이동통로 찾기 | ||
⑤ 대피지도 그리기-2 : 다양한 재난상황에 맞는 대피경로를 모둠별로 평면도에 그리기 | ||
⑥ 유관기관 역할체험 : 유관기관(소방서, 경찰서, 보건소 등) 역할 알아보기, 소화기·심폐소생술·응급처치 등 체험 | ||
⑦ 대피훈련 준비 : 대피 시나리오 작성 및 모의훈련(리허설) 실시 | ||
⑧ 대피훈련 실시 : 현장 대피훈련 실시 및 의견 나눔 |
- (심화훈련) 보드게임, 안전커뮤니티 맵핑, 시나리오 작성, 현장훈련, 역할체험 등 실시(3~5주 훈련기간에 맞춰 조정)
※ 시나리오 작성 및 대피훈련은 필수
<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 심화훈련 프로그램(5주 훈련 예시) > | ||
▸1주차: 재난 이해하기, 역할체험 사전준비(주변 환경 조사, 유관기관 역할 정리) | ||
▸2주차: 대피경로 작성(대피지도 제작, 재난대응요령 작성, 소화전 위치 파악) | ||
▸3주차: 대피 및 역할체험 시나리오 작성, 모의훈련 실시 | ||
▸4주차: 현장 대피훈련 실시, 결과 보고, 의견 나눔, 설문조사 | ||
▸5주차: 체험형 교육 실시(‘찾아가는 소방안전 교육’과 연계 등) |
학생(어린이) 주도 재난안전훈련 활동 사례
○ 재난 이해하기
재난의 종류 이해하기 | 리스크랜드 게임 설명 | 해저드빙고 게임 완성 |
![]() |
![]() |
![]() |
○ 대피 경로 작성
학교 소화시설 찾기 | 대피지도 그리기 | 재난대응요령 작성 |
![]() |
![]() |
![]() |
○ 유관기관 역할체험하기
응급처치 실시 | 부상자 응급구호소 이송 | 소화기 사용법 익히기 |
![]() |
![]() |
![]() |
○ 대피 훈련 실시
화재 대피 훈련 | 지진 대피 훈련 | 심폐소생술 실시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