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원장 민병주)은 3월 29일(금)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계획*을 안내하고, 사업 참여 대학을 공모한다.
* ‘반도체특성화대학 지원사업 2024년 운영계획’, ‘이차전지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기본계획’
첨단산업 인재양성 위해 13개 대학 신규 선정, 올해 총 745억 원 지원
- 2024년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사업을 통해 반도체 특성화대학 10개교, 이차전지 특성화대학 3개교 신규 선정 지원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사업’은 첨단산업 인재양성의 핵심 기반인 대학의 학사급 인재양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2023년~, 8개 사업단· 865명 지원 중)’ △‘이차전지 특성화대학 지원사업(2024년~)’ 등 2개 분야를 대상으로 운영한다. 4년간 집중적인 재정지원을 통해 대학은 인재양성 체계(주전공 혹은 융합전공 등)를 구축하고, 교육과정 · 교원 · 실습장비 등 교육 여건을 마련한다.
2024년에는 총 13개 대학을 신규로 선정한다. ‘반도체 특성화대학’으로 수도권 7개교·비수도권 3개교 총 10개교(또는 연합)를 선정하여 지원하며, 올해 총 655억 원을 지원한다. ‘이차전지 특성화대학’은 3개교를 선정하여 지원하며, 올해 총 90억 원을 지원한다.
< 2024년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신규 선정 지원 계획(안) >
구분 | 유형 | 지역 구분 | 구성 | 구성 조건 | 물량 | 단가 |
반도체 | (유형1) 단독형 |
수도권 | 개별대학 | - | 3개교 | 45억 내외 |
비수도권 | 개별대학 | - | 1개교 | 70억 내외 | ||
(유형2) 동반 성장형 |
수도권 - 비수도권 |
대학연합 | 수도권 1교+비수도권 1교 | 4개 연합 | 70억 내외 | |
비수도권 | 대학연합 | 권역 내 대학 연합(2개교) | 2개 연합 | 85억 내외 | ||
이차전지 | - | - | 개별대학 | - | 3개교 | 30억 내외 |
각 대학은 대학별 강점과 특성에 기반한 특성화 분야*를 설정하고, △연간 50명 이상의 인재양성 목표 △인재양성 체계(주전공 혹은 융합전공 등) △특성화 교육과정 및 교육역량(교원, 장비, 기반시설 등) 확충 계획을 마련하여 사업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 예시: (반도체) 회로·설계, 소재·부품·장비, 소자·공정, 시험(테스트)·포장(패키징) (이차전지) 소재·부품, 설계기술, 제조·공정 관리, 사용 후·재활용
아울러, 2024년부터 대학 내 중복투자 방지 및 산업계와의 소통·협업 강화를 위해 ‘첨단산업 인재양성 센터’와 ‘첨단산업 기업을 포함한 교육과정위원회’를 대학의 사업 추진계획에 포함하여야 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대학은 오는 5월 13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신청하면 된다. 첨단산업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단의 서면평가·현장조사·대면평가를 거쳐 6월 중 선정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또한 지역과 연계한 첨단산업 인재양성을 유도하기 위해 지자체 등의 대응투자에 대한 가점이 부여된다.
심민철 인재정책기획관은 “첨단산업 인재양성의 역량과 의지를 갖춘 대학들이 사업에 적극 참여하여, 우리나라 반도체와 이차전지 분야의 핵심인재 양성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정부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첨단산업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개요
□ (배경) 첨단산업의 다양한 공정(Value Chain)의 기술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 내 이를 뒷받침할 기반(학과, 교육과정, 교원, 장비 등) 제고 필요
□ (목적)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양성 역량과 의지를 갖춘 대학을 집중 육성
□ (지원 분야) 반도체, 이차전지
□ (사업관리)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 (주요 내용) 대학별 첨단산업 인재양성 분야와 인재양성 방안 및 규모 등의 사업계획을 심사·선정 후 대학의 이행계획을 위한 재정 지원
< 대학별 추진계획 포함사항 > ➊ (학과신설 등 추진체계 구축) 인재양성 목표설정, 이행계획 및 추진체계 구축 ※ 세부 특성화 분야(예시): 회로·시스템, 소자·공정개발, 소재․부품․장비, 테스트패키징 등 ➋ (특성화 교육과정 운영) 기초교육, 학문 간 융복합, 기업협업 교육과정 개발․운영 ➌ (교원·시설 등 인프라 개선) 우수교원 확보 및 활용, 교육,연구, 실습환경 구축 ➍ (탄력적 학사 운영) 학교 밖 학점인정 확대, 공동교육과정 운영, 교원인사 운영개선 등 ➎ (취업 및 진학 지원) 반도체 분야 취업 및 진학(대학원) 활성화 |
□ (선정) 제출서류, 신청자격 등 사전검토 후, 서면평가, 현장조사(방문평가) 및 대면평가를 통해 최종 참여 대상 선정
□ (성과관리) 연차평가 · 단계평가 등을 통해 인재양성의 양적(인력 양성 규모), 질적(반도체 유관분야 진출 여부 및 산업계 평가 등) 성과 관리
□ 2023년 특성화대학(반도체) 운영 현황
유형 | 지역 | 대학명(가나다순) | 특성화 분야 | 인재양성 | 양성 방안 |
단 독 형 |
수도권 | 서울대 | 회로 · 시스템, 소자 · 공정 | 50명 | 주전공(신설) 및 융합전공 |
성균관대 | 차세대 반도체 | 60명 | 주전공(신설) 및 융합전공 | ||
비수도권 | 경북대 | 회로·시스템, 소자·공정, 소재·부품·장비 | 180명 | 주전공 및 융합전공 | |
고려대(세종) | 첨단반도체 공정장비 | 80명 | 융합전공 | ||
부산대 | 차량 반도체(파워반도체) | 50명 | 주전공(신설) 및 융합전공 | ||
동 반 성 장 형 |
수도권 | 명지대-호서대 | 소재·부품·장비, 패키징 | 185명 | 주전공 및 융합전공 |
비수도권 | 전북대-전남대 | 차세대 모빌리티반도체 | 140명 | 융합전공 | |
충북대-충남대- 한국기술교육대 |
시스템 반도체, 파운드리반도체 | 120명 | 융합전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