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2월 14일(수) 대한상공회의소(서울)에서 ‘2023년 위-밋(WE-Meet)* 과제(프로젝트) 우수팀 시상식’을 개최한다.
* 위-밋(WE-Meet, Work-Experience Meet)
대학·기업·학생이 협업하여 지능형 로봇 등 첨단분야 문제해결 과제 수행
- 2023년 위-밋(WE-Meet) 과제(프로젝트) 우수 23개팀 시상 및 우수과제 발표
‘위-밋 과제(프로젝트)’는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에 참여 중인 지능형로봇, 미래자동차, 에너지신산업 등 13개 첨단분야 연합체(컨소시엄)에서 운영하는 세부 프로그램이다.
* 수도권-비수도권 대학이 협력하여 첨단분야 융‧복합 교육과정 개발‧운영, 장비‧시설 공동 활용, 학사‧교원 제도개선, 산업계 협업 등을 통해 첨단분야 인재 양성(2021~)
참여 대학은 ‘위-밋 과제(프로젝트)’ 연계 교과를 편성하여 과제를 이수한 학생에게 학점을 부여하고, 학생은 기업이 제시한 과제(프로젝트)를 수행한다. 기업 재직자는 학생이 수행하는 과제의 전 과정을 직접 지도(멘토링)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대학에서 배운 첨단분야 지식과 기술을 기업 현장의 문제에 적용하고 해결책을 찾는 경험을 할 수 있다.
※ 2023년 13개 분야별 과제 190여 개 운영, 학생 2,300여 명 및 기업 180여 개사 참여
이번 시상식에서는 2023년에 운영한 190여 개 과제(총 525팀) 중 총 23개 우수팀을 선정하여 교육부장관상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상을 수여한다. 또한 과제에 참여한 교수와 학생의 사례 발표 등을 진행하여 2023년 운영 성과를 상호 공유한다.
< 2023년 첨단분야별 대학-기업 협업 우수과제 사례 > | |
분야 (대학-기업) |
주요 내용 |
지능형로봇 (광운대-로봇앤드디자인) |
‣ (과제명) 협동로봇 사업화 아이디어 과제(로봇기업경영) ‣ (추진배경) 미국 반려동물로 새(Bird)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현상과 장애인 우울증 문제를 결합하여 해결책 모색 ‣ (주요내용) 고성능 인공지능 기술과 통신기능을 탑재한 앵무새 모형의 ‘포롱(Porong)’ 반려로봇 사업화 아이디어 제시 |
에너지신산업 (고려대- LG전자) |
‣ (과제명) 힛펌(Heat Pump) 건조기 성능 개선(건조시간 단축) ‣ (추진배경) 기존 건조기 힛펌(Heat Pump)의 냉매 적용 규제 강화에 대응하고, 긴 건조시간을 개선할 방안 모색 ‣ (주요내용) 주기(사이클)·부품 개선과 냉매 변경을 통해 건조시간을 30% 이상 저감할 수 있는 성능 개선 아이디어 제시 |
심민철 인재정책기획관은 “빠르게 변화하는 첨단분야 기술과 산업 동향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기업 간 긴밀한 협업이 필수이다.”라고 말하며, “첨단분야에 관심 있는 대학생들이 실제 기업 현장의 문제해결 경험을 통해 역량을 함양하여 핵심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위-밋(WE-Meet) 프로젝트 시상식 개요
□ 시상식 개요
◦ (목적)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의 세부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WE Work-Experience-Meet 프로젝트’* 2023년 우수팀 시상 및 성과 공유 등
◦ (일시) ’24.2.14.(수) 14:00~15:10(약 70분)
◦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서울 중구)
◦ (주최/주관) 교육부 / 대한상공회의소
◦ (참석) 우수팀 학생 및 지도교수, 기업 재직자, 교육부, 대한상의,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사업단 협의회 등 120여 명
◦ (시상식 일정) ※ 세부 일정은 진행 상황에 따라 일부 변동 가능
일정(안) | 내용 | 비고 | |
14:00∼14:02 | ’02 | ▸ 개회 | |
14:02∼14:12 | ’10 | ▸ 인사말 | |
14:12∼14:22 | ’10 | ▸ 2023년도 사업성과 안내 등 | |
14:22∼14:42 | ’20 | ▸ 프로젝트 우수사례 발표 | |
14:42∼15:10 | ’28 | ▸ 우수팀 시상 ※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상 13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상 10팀 |
|
15:10 | ▸ 폐회 |
□ WE-Meet 프로젝트 주요 내용
◦ (주요 내용) 첨단분야 기업 현장을 반영한 문제해결 및 체험형 프로젝트를 운영하여 대학생의 기업 직무에 대한 이해 및 응용력 향상
※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 세부 프로젝트로 운영(교육부-대한상공회의소 협력, ’22.下~)
◦ (대상)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 사업 참여 컨소시엄
※ 혁신융합대학 참여 컨소시엄: [’21년~, 8개] ①인공지능, ②빅데이터, ③차세대반도체, ④미래자동차, ⑤바이오헬스, ⑥실감미디어, ⑦지능형로봇, ⑧에너지신산업, [’23년~, 5개] ①항공‧드론, ②반도체 소‧부‧장, ③이차전지, ④차세대통신, ⑤에코업(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