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과기정통부,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 발표

반응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는 국내 가구와 개인의 ▲인터넷 이용 환경(컴퓨터, 모바일) 및 이용률, ▲이용 행태(시간, 목적), ▲주요 서비스 활용(인공지능, 동영상, 인터넷 은행거래<뱅킹> ) 조사한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이하 ‘실태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과기정통부,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결과 발표

- 생성형 인공지능 이용률 '23년 대비 2배 증가, 인터넷 이용자 3명 중 1명 경험

- 구매 경제에서 구독 경제로의 전환 및 해외 직구 이용자 증가 등 디지털 경제의 확장

 ’24년은 인공지능의 급속한 발전과 편의성 증가로 인해 인공지능 서비스가 양한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해로, 이에 따라 인터넷 이용행태에도 변화가 감지되었다. 이번 실태조사에서는 인공지능 시대의 인터넷 이용실태, 디지털 경제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서비스를 경험해 봤다고 답한 응답자는 2021 32.4%에서 매년 꾸준히 상승하여 2024년에는 60.3%로 나타났다.(’21년 32.4%, ’22년 42.4%, ’23년 50.8%, ’24년 60.3%). 인공지능의 도움 정도에 대한 만족도는 자율주행 등 교통 분야(98.3%)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필요도 및 향후 이용 의향은 사 지원 로봇, 사울인터넷 가전 등 주거 편의 분야(필요도 78.2%, 이용 의향 58.7%)에서 가장 높다고 답했다.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를 경험해봤다는 응답 비율은 2023 17.6%에서 2024년 33.3%로 약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용 분야는 단순 정보검색(81.9%, 2.4%p), 문서작업 보조(44.4%, 7.7%p), 외국어 번역(40.0%, 11.3%p), 창작  취미활동 보조(15.2%, 6.6%p), 코딩 및 프로그램 개발(6.3%, 1.5%p) 순이었다.

 

 식료품,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소프트웨어 등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지 않고 정기 ‘구독’하는 방식이 디지털 경제 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인터넷 상품 구매 시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은 2023년 13.1%에서 2024 49.4%  3.8배 증가하였다. 연령별로 구독서비스 이용률 증가는 10~30대가 주하고 있으며, 2023년 대비 10대 43.6%p↑, 20대 40%p↑, 30대 37%p↑ 순으로 상승하였다.

  알리 익스프레스, 테무와 같은 해외 직구 사이트가 한국 시장에 직접 진출하면서 인터넷 쇼핑 이용자의 해외직구 이용률은 2023년 20%에서 2024년 34.3%로 약 1.7배 증가하였다. 연령대별로는 30대(47.2%)가 가장 높았고, 20대(43.5%), 40대(36.8%) 순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2·30대는 전년 대비 20%p 가까이(20대 17.9%p↑, 30대 18.8%p↑) 이용률이 증가하여 해외 직구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구의 인터넷 접속률*은 전년과 동일한 99.97%로, 만 3세 이상 가구원의 인터넷 이용률**은 전년보다 0.5%p 증가한 94.5%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의 90.5%는 하루에 1회 이상 이용하며, 주 평균 20.5시간 이용하고, 인터넷 이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97.5%),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88.9%)으로 나타났다.

   * 전체 조사 대상 가구 중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가구의 비율

  ** 만 3세 이상 국민 중 최근 1개월 이내 인터넷 이용자의 비율

 

  인터넷 이용자의 97.7%가 쪽지 창(인스턴트 메신저)을 이용하며, 가장 많이 이용하는 쪽지창(메신저) 카카오톡(98.0%)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인터넷 이용자의 95.4%가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하며, 가장 많이 이용하는 온라인 체제 기반(플랫폼) 1인 매체 통로(1인 미디어 채널)(68.3%)로 나타났다.

 

  이번 실태조사에 대하여 과기정통부 엄열 정보통신정책관은 “인공지능 기술이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닌 우리 생활의 필수적인 기반으로 자리 잡고 있다”라고 강조하며, “인공지능 서비스가 국민의 일상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도록 이용 역량 강화, 윤리적 활용 방안 마련 등 다양한 정책과제를 적극 발굴·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는 전국 25,509가구 및 만 3세 이상 가구원 60,229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조사 결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www.msit.go.kr)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www.nia.or.kr)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주요 결과표(3개년)

분야 주요내역 22 23 24 증감
(전년대비)
이용
환경
가구 인터넷 접속률 99.96 99.97 99.97 -
가구 컴퓨터 보유율 81.0 78.1 77.2 △0.9
가구원 스마트폰 보유율 98.3 96.1 97.3 1.2
가구원 태블릿 PC 보유율 30.4 27.2 28.0 0.8
인터넷 이용 인터넷 이용률 93.0 94.0 94.5 0.5
접속 방법 유선 인터넷 73.0 70.8 68.1 △2.7
무선 인터넷 98.5 99.8 99.8 -
주 평균 인터넷이용시간 22.1 20.8 20.5 △0.3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 92.0 93.5 93.8 0.3
인터넷 이용빈도(하루 1회 이상 이용) 93.7 93.9 90.5 △3.4
인터넷
활동 
음성/영상통화 이용률 66.2 67.6 54.5 △13.1
인스턴트메신저 이용률 98.5 97.7 97.7 -
이메일 이용률 60.3 59.9 56.8 △3.1
SNS 이용률 69.7 66.4 65.2 △1.2
사진 및 동영상 게시·공유 68.9 59.6 57.9 △1.7
온라인 교육 이용률 39.8 35.1 32.7 △2.4
온라인 구직활동 및 입사지원 14.0 8.0 18.3 10.3
인터넷뱅킹 이용률 79.2 77.8 80.7 2.9
인터넷쇼핑 이용률 73.7 75.0 78.6 3.6
상품이나 서비스 판매(중고포함) 40.2 34.5 47.6 13.1
금융상품(보험·주식) 구매 20.6 17.7 11.6 △6.1
신기술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률 37.9 39.3 43.9 4.6
동영상 서비스 이용률 96.1 93.7 95.4 1.7
인공지능서비스 이용률 42.4 50.8 60.3 9.5
5G 스마트폰 무선인터넷 이용률 50.8 61.4 68.2 6.8
웨어러블 기기 보유율 10.5 14.9 15.2 0.3
가구 스마트가전 보유율 14.5 14.7 16.8 2.1
가구 IoT 서비스 이용률 18.6 24.2 26.7 2.5

 

반응형